📌 1. 선물시장 vs. 현물시장 차이
- 현물시장 = "진짜 물건(주식, ETF 등)을 사고파는 시장"
- 예) 삼성전자 주식을 직접 사서 가지고 있는 것
- 주식 가격이 오르면 내 자산도 증가함!
- 시가총액(기업 가치)에 따라 내 돈이 변동됨
- 선물시장 = "미래의 가격을 예상해서 거래하는 시장"
- 예) "내가 한 달 후 삼성전자 주식을 10만 원에 살게!"라고 계약하는 것
- 실제 주식을 사는 게 아니라 "미래 가격을 두고 내기하는 게임"
- 지금 가격이 싸다고 무조건 사면 안 되고, 미래 방향(Direction)을 예측해야 함
📌 2. 선물시장은 가격게임이 아니다?
👉 "싸니까 사야지!"라는 생각으로 선물 투자를 하면 안 된다는 뜻이야!
- 주식(현물)은 **"싼 가격에 사서, 비싸지면 팔면 된다"**라는 개념이 맞아.
- 하지만 선물거래는 가격이 아니라 '방향(Direction)'을 맞춰야 해!
- 예를 들어, 지금 KOSPI 200 선물 가격이 300이라 해도,
- 한 달 후 250이 될지, 350이 될지를 맞추는 게임이야!
- 그냥 싸 보인다고 사면 안 되고, 미래 방향을 예측해야 함.
📌 3. 옵션시장과도 다르다?
- 옵션시장은 변동성(Volatility)으로 돈을 벌 수도 있어.
- 예) 가격이 크게 오르거나 떨어질 것 같으면 옵션을 사는 전략
- 방향(Direction)뿐만 아니라 "얼마나 크게 움직이는지(변동성)"도 중요함
- 선물은 옵션처럼 변동성 게임이 아니고, "방향만 맞추는 게임"임.
📌 한 줄 정리!
👉 선물시장은 "가격이 싸니까 산다"가 아니라, "미래 방향을 예측하는 게임"이야!
👉 옵션처럼 변동성(출렁거림)으로 돈을 버는 시장도 아님!
👉 "싸다 = 기회"가 아니라, "방향이 맞을까?"가 중요해! 😊
'경제공부 > 경제개념쉽게배우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국민연금 소득대체율 43% 합의] 보험료 인상 가능성? 핵심 내용 정리 (1) | 2025.03.15 |
---|---|
📌 선물시장과 카드게임(Card Game)의 차이점 (0) | 2025.03.03 |
MA란? (Moving Average, 이동평균선) (0) | 2025.03.03 |
선물가격이 더 비싸면 주식이 오른다고? Contango & Backwardation 개념 정리 (1) | 2025.03.03 |
인버스 ETF가 뭘까? (0) | 2025.03.03 |
KOSPI200현물이 뭐야? 5살도 알기 쉬운 경제학 (0) | 2025.03.03 |
HBM(High Bandwidth Memory)이란? (0) | 2025.02.14 |
제본스의 역설이란? (0) | 2025.02.14 |